· Conclusion ·

결론
These results suggest that PEMF preserved the structural integrity of subchondral bone in knee OA rats

PEMF가 무릎 골관절염(OA)
쥐의 연골하골 구조적 무결성을 보존하는 데 기여했음을 나타낸다.

Clinical Data

임상자료

펄스형 전자기장(PEMF)이 Wnt/β-catenin 신호 경로를 통해 무릎 골관절염(OA) 쥐의 연골하골 미세구조를 개선하는 효과
The aim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PEMF can successfully improve subchondral bone microstructure through a Wnt/b-catenin signaling-associated pathway in rats with knee OA induced by low-dose monosodium iodoacetate (MIA).
본 연구는 저용량 단일요오드아세테이트(Monosodium Iodoacetate, MIA) 주사를 이용해 유도된 무릎 골관절염(OA) 쥐 모델에서 펄스형 전자기장(Pulsed Electromagnetic Field, PEMF)이 Wnt/β-catenin 신호 경로를 매개로 연골하골(subchondral bone) 미세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지
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.
Seventy-two 12-week-old male Sprague–Dawley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:
OA (n = 24), PEMF (n = 24), and Control (n = 24).
OA was induced (OA and PEMF groups) by injecting 0.2 mg
MIA in rats’ right knee joint. The control rats received a single sterile saline injection in the right knee.
Rats in the PEMF group were exposed to daily 2 h PEMF exposure with 75 Hz, 1.6mT for 4 weeks.
After 4 weeks, microcomputed tomography (micro-CT), real-time PCR, and immunohistochemistry staining were performed.
총 72마리의 12주령 수컷 Sprague–Dawley 쥐를 무작위로 세 그룹으로 배정하였다:
1. OA 그룹 (n = 24): MIA 0.2 mg을 우측 무릎관절에 주사하여 골관절염을 유도
2. PEMF 그룹 (n = 24): MIA 주사 후 PEMF 치료 적용
3. 대조군 (n = 24): 우측 무릎관절에 멸균 생리식염수를 단일 주사
PEMF 그룹의 쥐는 주파수 75 Hz, 자기장 강도 1.6 mT의 PEMF를 매일 2시간씩 4주간 적용 받았다.
4주 후, 연골하골 미세구조 및 Wnt/β-catenin 신호 경로의 활성화를 평가하기 위해 마이크로컴퓨터 단층촬영(micro-CT), 실시간 PCR(real-time PCR), 면역조직화학 염색(immunohistochemistry staining)을 수행하였다.

instrumental physical therapy

“instrumental physical therapy”는 재활치료의 한 분야로 물리적인 에너지를 전달하여 근골격계의 치료를 목적으로 의료용 전자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물리 에너지가 전달 되게 합니다.